게오르기 주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 주코프는 1896년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난 소련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을 승리로 이끈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역량과 결단력으로 레닌그라드 방어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모스크바 전투와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베를린 공방전을 승리로 이끌어 독일의 항복을 받아내는 데 기여했다. 그는 소련 영웅 칭호를 4회 받았으며,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전후에는 국방장관을 역임했으나, 흐루쇼프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고, 사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루가주 출신 - 게르만 티토프 (아이스하키 선수)
게르만 티토프는 소련 리그와 NHL에서 활약하며 우승과 메달을 획득하고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칼루가주 출신 - 니콜라이 미하일롭스키
니콜라이 미하일롭스키는 러시아의 인민주의 사상가이자 문학 평론가로, 영웅과 군중 이론을 통해 개인의 역할과 대중의 심리적 영향력을 강조하며, 테러리즘을 지지하고 자본주의를 비판했다. - 할힌골 전투 관련자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할힌골 전투 관련자 - 이시이 시로
이시이 시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731부대 부대장으로서 중국인 등을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자행한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의관으로, 전후에는 전쟁 범죄 기소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생물 무기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바실리 자이체프
바실리 자이체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활약하며 225명 이상의 독일군을 사살하고 독자적인 저격 전술을 개발한 소련군 저격수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그의 활약상은 선전에 활용되었으며 일부 기록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지만, 그의 이야기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6군 사령관으로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지휘하다 소련군에 항복했으며, 전후 반나치 활동에 참여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는 등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게오르기 주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게오르기 콘스탄티노비치 주코프 |
로마자 표기 | Georgy Konstantinovich Zhukov |
별칭 | 승리의 원수 |
출생일 | 1896년 12월 1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칼루가주 스트렐코프카 |
사망일 | 1974년 6월 18일 |
사망지 | 소련 모스크바 |
안장 장소 | 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
국적 |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러시아 소련 |
소속 정당 | 소련 공산당 |
배우자 | 알렉산드라 주이코바 (1953년–1965년, 이혼) 갈리나 세묘노바 (1965년–1973년, 사망) |
자녀 | 마르가리타 주코바 외 3명 |
![]() | |
군사 경력 | |
소속 군대 | 러시아 제국 육군 소련 붉은 군대 소련 지상군 |
복무 기간 | 1915년–1957년 |
최종 계급 | 소련 원수 |
주요 지휘 | 키예프 군관구 오데사 군관구 제1 벨로루시 전선군 레닌그라드 전선군 소비에트 예비군 전선 소비에트 서부 전선군 |
주요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브루실로프 공세 러시아 내전 춘계 공세 탐보프 반란 제2차 세계 대전 소련-일본 국경 분쟁 할힌골 전투 대조국전쟁 바르바로사 작전 브로디 전투 옐냐 공세 모스크바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 천왕성 작전 화성 작전 레닌그라드 포위전 이스크라 작전 폴라 스타 작전 쿠르스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발트해 공세 비스툴라-오데르 공세 베를린 전투 독일 점령 헝가리 혁명 |
정치 경력 | |
직책 | 소련 국방부 장관 |
임기 시작 | 1955년 2월 9일 |
임기 종료 | 1957년 10월 26일 |
제1 서기 | 니키타 흐루쇼프 |
이전 직책 | 니콜라이 불가닌 |
다음 직책 | 로디온 말리놉스키 |
기타 직책 | 소련 공산당 정치국 제20기 정치국원 |
임기 시작 2 | 1956년 2월 27일 |
임기 종료 2 | 1957년 10월 29일 |
군정 책임자 | 소련 점령 독일 군정 책임자 |
이전 군정 책임자 | (직책 신설) |
다음 군정 책임자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소련군 총참모장 | 소련군 총참모장 |
임기 시작 3 | 1941년 1월 15일 |
임기 종료 3 | 1941년 7월 29일 |
이전 총참모장 | 키릴 메레츠코프 |
다음 총참모장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훈장 및 포상 | |
훈장 | 성 게오르기 십자훈장 (2회) 소련 영웅 (4회) 레닌 훈장 (6회) 승리 훈장 (2회) 10월 혁명 훈장 붉은 깃발 훈장 (3회) 수보로프 훈장 (2회) |
![]() | |
![]() | |
수훈 | 소련 영웅 (4회) [[파일:Золотая Звезда Героя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svg|20px|link=소련 영웅]] 승리 훈장 (2회) [[파일:SU Order of Victory ribbon.svg|70px|link=승리훈장]] 레닌 훈장 (6회) [[파일:SU Order of Lenin ribbon.svg| 40px|link=레닌 훈장]] 10월 혁명 훈장 [[파일:SU Order of the October Revolution ribbon.svg|40px|Link=10월 혁명 훈장]] 적기 훈장 (3회) [[파일:SU Order of the Red Banner ribbon.svg|40px|link=적기 훈장]] 수보로프 훈장 (2회) [[파일:Order suvorov1 rib.png|40px|link=수보로프 훈장 (소련)]] 성 게오르기 십자훈장 (2회) [[파일:RUS Imperial Order of Saint George ribbon.svg|40px]]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Vladimir Ilyich Lenin ribbon.svg|40px]] 레닌그라드 방어전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Defence of Leningrad ribbon.svg|40px]] 모스크바 방어전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Defence of Moscow ribbon.svg|40px]] 스탈린그라드 방어전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Defence of Stalingrad ribbon.svg|40px]] 코카서스 방어전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Defence of the Caucasus ribbon.svg|40px]] 대독 승리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Victory over Germany in the Great Patriotic War 1941-1945 ribbon.svg|40px]] 대조국전쟁 2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Twenty Years of Victory in the Great Patriotic War 1941-1945 ribbon.svg|40px]] 대일 승리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Victory over Japan ribbon.svg|40px]] 베를린 함락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Capture of Berlin ribbon.svg|40px]] 바르샤바 해방 기장 [[파일:SU Medal For the Liberation of Warsaw ribbon.svg|40px]] 노동자 농민 붉은 군대 2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XX Years of the Workers' and Peasants' Red Army ribbon.svg|40px]] 소련 육해군 3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30 Years of the Soviet Army and Navy ribbon.svg|40px]] 소련군 4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40 Years of the Armed Forces of the USSR ribbon.svg|40px]] 소련군 5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50 Years of the Armed Forces of the USSR ribbon.svg|40px]] 모스크바 80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In Commemoration of the 800th Anniversary of Moscow ribbon.svg|40px]] 레닌그라드 250주년 기장 [[파일:SU Medal In Commemoration of the 250th Anniversary of Leningrad ribbon.svg|40px]] |
외국 훈장 | |
외국 훈장 | 몽골 인민공화국 영웅 [[파일:Heroy MNR.jpg|20px]] 투바 공화국 훈장 [[파일:Orde van de Republiek Tuva.jpg|20px]] 수헤바타르 훈장 (3회) 40px 몽골 적기훈장 (2회) [[File:MN Order Red Banner rib1961.svg|40px]] 대일 승리 기장 [[File:Medal for victory over japan rib.PNG|40px]] 할힌골 전투 30주년 기장 [[File:Med XXXth anniversary of chalkin gol victory rib.PNG|40px]] 몽골 혁명 50주년 기장 [[File:50 Years Anniversary of the Mongolian Revolution rib.PNG|40px]] 몽골 인민군 50주년 기장 [[File:Med 50th anniversary of mongolian people's army rib.PNG|40px]] 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 (2회) [[File:POL Virtuti Militari Wielki BAR.svg|40px]]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File:POL Polonia Restituta Komandorski ZG BAR.svg|40px]] [[File:POL Polonia Restituta Komandorski BAR.svg|40px]] 그룬발트 십자 훈장 [[File:POL Order Krzyża Grunwaldu 1 Klasy BAR.svg|40px]] 바르샤바 1939-1945 기장 [[File:POL Za Warszawę 1939-1945 BAR.svg|40px]] 오데르 나이세 발트해 기장 [[File:POL Medal za Odrę Nysę i Bałtyk BAR.svg|40px]] 백사자 훈장 [[File:CZE Rad Bileho Lva 3 tridy BAR.svg|40px]] 군사 백사자 훈장 [[File:TCH CS Vojensky Rad Bileho Lva 1st (1945) BAR.svg|40px]]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훈장 [[File:Czechoslovak War Cross 1939-1945 Bar.png|40px]] 자유 훈장 [[File:Orden slobode.png|40px]] 중국-소련 우호 훈장 (2회) [[File:Sino Soviet Friendship Ribbon.svg|40px]] 레지옹 도뇌르 훈장 [[File:Legion Honneur GC ribbon.svg|40px]] 1914-1918년 전쟁 십자 훈장 [[File:Croix de Guerre 1914-1918 ribbon.svg|40px]] 바스 훈장 [[File:Order of the Bath UK ribbon.svg|40px]] 미국 공로 훈장 [[File:US Legion of Merit Chief Commander ribbon.png|40px]] 이집트 공로 훈장 [[File:EGY Order of Merit - Grand Cross BAR.png|40px]] 가리발디 훈장 [[File:Garibaldi Medal.png|40px]] |
2. 성장
게오르기 주코프는 1896년 러시아 제국 칼루가주 말로야로슬라베츠군 스트렐코프카 마을의 가난한 러시아계 농가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는 구두 수선공이었고, 어머니는 농부였다.[3]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주코프는 3년 과정의 초등학교를 졸업하고,[3] 모스크바에서 어머니의 형제인 미하일 밑에서 모피 장인으로 일하게 되었다.[3] 주코프는 사촌과 함께 러시아어, 독일어, 과학, 지리,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독학으로 공부했고,[3] 야간 학교에도 다녔다.[3] 1914년 도제 수업을 마친 후에는 자신의 모피 사업을 시작하기도 했다.[3]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5년 주코프는 러시아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제10 노브고로드 드라군 연대에서 복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주코프는 용감하게 싸워 성 게오르기 십자 훈장을 두 번 수여받았고,[3] 부사관으로 진급했다. 특히, 독일 장교를 사로잡은 공로로 훈장을 받았으며, 독일어에 능통하여 독일군 포획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정찰 중 지뢰를 밟아 부상을 입기도 했다.[63]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훈장, 3등급 |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훈장, 4등급 |
2. 1. 어린 시절과 제1차 세계 대전
게오르기 주코프는 1896년 러시아 제국 칼루가주 말로야로슬라베츠군 스트렐코프카 마을의 가난한 러시아계 농가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는 구두 수선공이었고, 어머니는 농부였다.[3]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주코프는 3년 과정의 초등학교를 졸업하고,[3] 모스크바에서 어머니의 형제인 미하일 밑에서 모피 장인으로 일하게 되었다.[3] 주코프는 사촌과 함께 러시아어, 독일어, 과학, 지리,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독학으로 공부했고,[3] 야간 학교에도 다녔다.[3] 1914년 도제 수업을 마친 후에는 자신의 모피 사업을 시작하기도 했다.[3]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5년 주코프는 러시아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제10 노브고로드 드라군 연대에서 복무했다.[3]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주코프는 용감하게 싸워 성 게오르기 십자 훈장을 두 번 수여받았고,[3] 부사관으로 진급했다. 특히, 독일 장교를 사로잡은 공로로 훈장을 받았으며, 독일어에 능통하여 독일군 포획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정찰 중 지뢰를 밟아 부상을 입기도 했다.[63]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훈장, 3등급 |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훈장, 4등급 |
2. 2. 러시아 내전과 그 이후
러시아 10월 혁명 이후 주코프는 소련군에 부사관으로 입대하여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64] 1919년에는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했다.[64] 입당 당시 당 서기국 서기 트로피모프와 당 위원 볼코프로부터 자세한 설명을 들었으며,[64] 제4기병연대가 우라지미로프카 역 방면으로 이동했을 때 자신과 같은 성을 가진 당 위원 게오르기 바실리예비치 주코프를 만나 전선과 국내 정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64] 바실리예비치는 주코프를 높이 평가하여 적군 간부 양성 과정에 추천했지만, 전황 변화로 인해 실현되지 않았다.[64]덴킨군과의 전투에서 주코프는 수류탄에 부상을 입었으나,[64] 회복 후 제1 랴잔 기병학교에 파견되어 교관으로 활동하며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64] 이후 브란겔 전선에 투입되어 잔존 도적 소탕 작전에서 공을 세워 제2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64] 알렉산드르 안토노프가 군을 봉기시키자 미하일 투하체프스키가 토벌 지휘를 맡았고,[64] 주코프는 투하체프스키 휘하에서 안토노프군과 싸우며 백병전 중 두 번이나 말에서 떨어질 정도의 격전을 벌였다.[64] 1920년 10월 보로네시에서 첫 번째 아내가 될 알렉산드라 디예브나를 만나 그 해 결혼했다.[66]

러시아 내전이 끝난 후에도 주코프는 군에 남아 기병 장교로서 승진을 거듭했다. 1922년에는 대대장으로 진급했고,[67] 1923년에는 제39기병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8] 1924년에는 고등 기병학교에 입학하여[8]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이반 바그라먄 등 훗날 소련 원수가 되는 인물들을 만났다. 로코소프스키는 주코프가 군사의 미묘한 부분까지 이해하는 경지에 이르렀다고 회고했으며,[71] 바그라먄 역시 주코프의 독창적인 사고력과 기병 전술에 대한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71]


오른쪽부터 왼쪽: 2열 1. 바그라먄 3. 엘리오멘코 3열 1. 주코프 5. 로코소프스키
고등기병학교 졸업 후, 주코프는 두 명의 동료와 함께 말을 타고 963km를 일주일 만에 주파하여 벨로루시의 민스크에 도착했다.[72] 1929년 말에는 프룬제 육군대학의 고급 지휘관 양성 과정에 들어갔다.[73] 1930년 봄 프룬제 육군대학을 졸업한 주코프는 기병 총사령관 세묘뇩 티모셴코로부터 7년 만에 기병 연대의 사기와 기술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74]
1930년대에는 군의 기계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계화 부대 운용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1930년 5월에는 제2기병여단 여단장으로 발탁되었고,[74] 1931년 2월에는 기병 총감 대리에 취임하여 전투 훈련 관찰을 담당했다.[75] 1933년 3월에는 제4기병사단 사단장에 취임하여 4년간 사단의 규율과 기술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다.[76] 1937년 7월에는 벨로루시 군관구 제3기병군 사령관에 취임하고, 1938년 3월에는 제6코사크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76] 1938년 6월에는 벨로루시 군관구 부사령관이 되어 전차와 기병의 훈련을 담당했다.[77]
thumb
3. 할힌골 전투
1930년대 후반, 만주국과 몽골 인민 공화국의 국경 분쟁이 격화되면서 소련과 일본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80] 1937년부터 1939년까지 이어진 스탈린의 대숙청에서 살아남은 주코프는 백러시아 군관구 사령관 대리로 민스크 지역에 부임했다.[80]
1939년 5월 주코프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몽골로 이동하여 현지군 시찰을 명령받았다.[80] 당시 일본군과 싸우고 있던 것은 제57특별병단을 지휘하는 페크렌코였다. 국방인민위원 보로실로프는 제57특별병단 사령부의 임무 수행 상황 조사를 주코프에게 명령하고, 지휘에 결함이 있으면 개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몽골 제57특별병단 사령부에 도착한 주코프는 현지 지휘관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일본군의 대규모 공세에 대비하여 할하강(할하하) 우안을 방어한다는 것을 모스크바에 알렸다.[80]
주코프는 규율 회복을 분명히 제시하고, 군기 위반으로 두 명의 병사를 총살형에 처했다.[82] 6월이 되자 일소 양군의 공중전이 시작되었고, 일본군은 할하 지역에 병력을 집중했으며, 주코프도 병력을 집결시켜 결전 준비를 갖췄다.[80]
관동군에게는 처음에 소련의 국경 방어 능력을 시험하는 의도가 있었지만, 급속히 대규모 전투로 발전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차 500대 이상, 항공기 500대 이상, 병력 수만 명이 투입되었다. 이 분쟁은 할힌골 전투로 이어졌다.[80]
thumb
주코프는 사전에 철저한 작전 준비, 특히 후방 정비와 병참을 매우 중시했던 주코프는 먼저 수송 체계를 조직하고, 충분한 전쟁 물자가 축적될 때까지 기다린 후, 1939년 8월 20일부터 관동군에 대한 반격을 개시할 계획을 세웠다.[80] 주코프는 관동군이 정예 전차 병단이나 자동 기계화 부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이용하여 기계화 병력에 의한 포위 섬멸전을 시도했다.[80] 공세를 은폐하기 위해 모든 기만 작전을 실시했고, 각 부대의 이동은 야간에만 실시되었다.[80]
포병의 지원 아래, 자동화된 보병과 2개 전차 여단이 전선의 양익을 돌파하는 대담한 기동을 실시하여 제6군(일본군)을 포위하고, 제23사단을 괴멸시키는 등 큰 타격을 입혔다. 2주 만에 관동군은 후퇴했고, 그 후 국경선은 소련·몽골의 주장에 가까운 형태로 확정되었다. 이 공적으로 주코프는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80]
역사가 윌리엄 스파는 주코프의 성공을 칸나이 전투에 비유하고 있다.
역사가 오토 프레스턴도 주코프의 장재와 자질을 칭찬했다.
3. 1. 배경
1930년대 후반, 만주국과 몽골 인민 공화국의 국경 분쟁이 격화되면서 소련과 일본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80] 1937년부터 1939년까지 이어진 스탈린의 대숙청에서 살아남은 주코프는 백러시아 군관구 사령관 대리로 민스크 지역에 부임했다.[80]1939년 5월 주코프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몽골로 이동하여 현지군 시찰을 명령받았다.[80] 당시 일본군과 싸우고 있던 것은 제57특별병단을 지휘하는 페크렌코였다. 국방인민위원 보로실로프는 제57특별병단 사령부의 임무 수행 상황 조사를 주코프에게 명령하고, 지휘에 결함이 있으면 개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몽골 제57특별병단 사령부에 도착한 주코프는 현지 지휘관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일본군의 대규모 공세에 대비하여 할하강(할하하) 우안을 방어한다는 것을 모스크바에 알렸다.[80]
주코프는 규율 회복을 분명히 제시하고, 군기 위반으로 두 명의 병사를 총살형에 처했다.[82] 6월이 되자 일소 양군의 공중전이 시작되었고, 일본군은 할하 지역에 병력을 집중했으며, 주코프도 병력을 집결시켜 결전 준비를 갖췄다.[80]
관동군에게는 처음에 소련의 국경 방어 능력을 시험하는 의도가 있었지만, 급속히 대규모 전투로 발전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차 500대 이상, 항공기 500대 이상, 병력 수만 명이 투입되었다. 이 분쟁은 할힌골 전투로 이어졌다.[80]
thumb
주코프는 사전에 철저한 작전 준비, 특히 후방 정비와 병참을 매우 중시했던 주코프는 먼저 수송 체계를 조직하고, 충분한 전쟁 물자가 축적될 때까지 기다린 후, 1939년 8월 20일부터 관동군에 대한 반격을 개시할 계획을 세웠다.[80] 주코프는 관동군이 정예 전차 병단이나 자동 기계화 부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이용하여 기계화 병력에 의한 포위 섬멸전을 시도했다.[80] 공세를 은폐하기 위해 모든 기만 작전을 실시했고, 각 부대의 이동은 야간에만 실시되었다.[80]
포병의 지원 아래, 자동화된 보병과 2개 전차 여단이 전선의 양익을 돌파하는 대담한 기동을 실시하여 제6군(일본군)을 포위하고, 제23사단을 괴멸시키는 등 큰 타격을 입혔다. 2주 만에 관동군은 후퇴했고, 그 후 국경선은 소련·몽골의 주장에 가까운 형태로 확정되었다. 이 공적으로 주코프는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80]
역사가 윌리엄 스파는 주코프의 성공을 칸나이 전투에 비유하고 있다.
역사가 오토 프레스턴도 주코프의 장재와 자질을 칭찬했다.
3. 2. 주코프의 활약
1939년 8월 20일, 주코프는 벨라루스에서 전임되어 소련군 제1몽골군 사령관으로서 관동군에 대한 반격을 지휘했다.[80] 그는 기계화된 포병과 보병의 지원을 받는 2개 전차여단을 전선 양익으로 진격시켜 일본 제6군을 포위하고, 1개 사단을 전멸시키는 대담한 기동 작전을 펼쳤다.[80] 2주 안에 관동군은 후퇴했고, 국경선은 소련과 몽골의 주장대로 확정되었다.[80]주코프는 1938년 소련군 제1몽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몽골인민공화국과 일본이 지배하는 만주국 국경에서 일본 관동군과 전투를 벌였다.[80] 1939년 5월 주코프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몽골 현지군 시찰을 명령받았고, 현지 부대의 실책 조사를 겸하여 국방인민위원부의 숙청 앞잡이 역할을 맡았다.[80][81] 주코프는 현지 지휘관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일본군의 대규모 공세에 대비하여 할하강(할하하) 우안을 방어할 것을 모스크바에 알렸다.[80]
주코프는 사전에 철저한 작전 준비, 특히 후방 정비와 병참을 매우 중시했다. 그는 먼저 수송 체계를 조직하고 충분한 전쟁 물자가 축적될 때까지 기다린 후, 1939년 8월 20일부터 관동군에 대한 반격을 개시할 계획을 세웠다.[80] 이를 위해 소련 국내에서 신병력, 기술 자재의 예비가 투입되었고, 보병 2개 사단, 전차 여단, 포병 2개 연대 등의 부대가 보충 운송되었다.[80] 또한 막대한 연료와 무기 탄약을 수송하기 위해 트럭과 유조 트럭이 추가로 보충되었다.[80]
주코프는 관동군이 정예 전차 병단이나 자동 기계화 부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이용하여, 기계화 병력에 의한 포위 섬멸전을 시도했다.[80] 공세를 은폐하기 위해 모든 기만 작전을 실시했고, 각 부대의 이동은 야간에만 실시되었다.[80]
thumb
이러한 전술적 성공으로 주코프는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80] 이 전투는 소련 외부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주코프의 기계화부대 운용과 혁신적인 전술은 서방측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이러한 전술은 후에 나치 독일의 폴란드와 프랑스 전격전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역사가들은 주코프의 전술을 칸나이 전투에 비유하며 그의 장재와 자질을 높이 평가했다.[83][84]
4. 제2차 세계 대전
4. 1. 독소전쟁 초기
1940년부터 나치 독일이 독소 불가침 조약을 깨고 소련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는 정보는 많은 경로로 소련 지휘부에 전달되었다.[84] 주코프는 총참모장으로서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티모셴코와 함께 독일군에 공세에 대한 방위 태세를 정비하였으나, 나치독일을 자극할 것을 우려한 스탈린은 적극적으로 방위태세를 정비하는 것을 금지했다.[84] 주코프와 티모셴코는 거듭 경계령을 발령해줄 것을 요청했고, 독일군의 침략 하루전인 1941년 6월 21일에야 스탈린의 허가를 얻어 경계령을 발동했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이 305만 대군으로 소련 침공을 개시했다(바르바로사 작전).[16] 주코프는 총참모장으로서 전선 여러곳을 방문하고 상황을 조사하였다. 주코프는 키에프가 포위의 위기에 몰리자 독일군의 예봉을 피해 일단 후퇴를 하여 병력을 보존하기를 스탈린에게 권고했으나, 스탈린은 이를 무시하였다. 주코프는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이지 않자 총참모장 직을 사임하고 전선으로 나가기를 스탈린에게 희망하였다. 스탈린은 주코프의 실력을 믿었으므로 당시 포위되어 있었던 레닌그라드 전선군 사령관으로 파견했다. 그는 무능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를 대신하여 도시방어 임무를 맡았다.[109] 여기서 주코프는 눈부신 군사적 수완과 비정하기까지 한 결의를 보이며, 갈팡질팡하던 방위군의 군율을 회복시키고, 시민의 협력을 얻을 수 있었다.[109] 이로 인해 1941년 가을에는 레닌그라드 남쪽 교외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정지시켰다.[109]

같은 날, 주코프는 "인민방위위원회 지령 제3호"에 서명하여 적군의 총반격을 명령했다.[16] 그는 부대에 "수왈키 근처의 적군 집단을 포위, 섬멸하고 6월 24일 저녁까지 수왈키 지역을 점령할 것"과 "블라디미르-볼리니아 및 브로디 방면으로 침입하는 적군 집단을 포위, 섬멸할 것", 심지어 "6월 24일 저녁까지 루블린 지역을 점령할 것"을 명령했다.[16] 그러나 이 작전은 실패했고, 혼란에 빠진 적군 부대는 독일 국방군(Wehrmacht)에 의해 궤멸되었다.[17] 뿐만 아니라 그 후 9월에 발생한 키예프 전투에서 60만 명이 넘는 소련군이 사살되거나 포로로 잡히면서 스탈린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8] 주코프는 이후 자신이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가 작성한 지령에 조세프 스탈린에 의해 서명을 강요당했다고 주장했다.[18]
6월 29일, 스탈린이 예고 없이 사령부에 도착하여 전선 상황 보고를 받지 못한 이유를 묻자, 주코프는 "동지 스탈린, 우리의 의무는 우선 전선 사령관을 돕는 것이고, 그 다음에 당신에게 보고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9] 그러나 벨라루스 전선 사령관들과 연락이 두절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자 스탈린은 격노하며 그를 "쓸모없는 놈"이라고 불렀다.[19]
7월 29일, 주코프는 참모총장직에서 해임되었다. 그는 회고록에서 포위를 피하기 위해 키예프를 포기하자는 자신의 제안이 해임의 이유라고 주장한다.[106] 다음 날 해임 결정이 공식화되었고, 그는 예비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6] 그는 그곳에서 옐냐 공세를 감독하여 적군이 독일군을 상대로 거둔 첫 승리를 이끌었다.[106] 9월 10일, 주코프는 레닌그라드 전선 사령관이 되었다.[109] 그는 그곳에서 레닌그라드 방어를 감독했다.[109]
주코프는 놀라운 군사적 기량과 냉혹한 결의를 보임으로써 동요하는 방어군의 규율을 회복하고 시민들의 협력까지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1941년 가을 레닌그라드 남쪽 교외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시켰다(레닌그라드 포위전).[109]
데이비드 글랜츠는 "주코프의 강철 의지가 네바 강의 기적을 일으켰다."[112]고 평가했고,
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최악의 위기를 극복하고 방어를 재정비하여 사기를 회복했다."[112]고 평가하고 있다.
4. 2. 모스크바 공방전
1941년 10월, 타이푼 작전으로 모스크바가 위협받자 주코프는 레닌그라드에서 복귀하여 모스크바 방위 사령관을 맡아 세묜 티모셴코를 대체하였다.[113] 그는 모스크바 주변에 방어선을 강화하고 극동에서 동계 전투 훈련을 받은 부대를 철도로 수송했다.[113] 이 병력 이동은 신속하게 이루어졌으며, 주코프의 병참 수완이 없었다면 모스크바 방위는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평가된다.뱌지마와 브랸스크에서 이반 코네프와 안드레이 에료멘코가 지휘하는 부대가 포위되어 50만 명의 병력을 손실하고 모스크바 방어선이 붕괴되었다.[113] 주코프는 이들의 작전 지휘를 비판했지만, 군법회의에 회부될 위기에 처했던 코네프를 구해 부관으로 맞이했다.[113][107]
10월 초, 주코프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서부전선 시찰 후 스탈린에게 모스크바로 통하는 도로가 무방비 상태임을 보고했다.[113][114] 스탈린은 게오르기 말렌코프와 몰로토프를 파견하여 상황을 확인했고, 주코프는 세묜 부됸니와 재회 후 서부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모스크바 방어의 전권을 위임받았다.[113][114] 스탈린과 몰로토프는 주코프에게 모스크바 방어 실패 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위협했지만, 주코프는 흔들리지 않았다.[115][116]
주코프는 90만 명의 병력으로 볼로콜람스크~모자이스크~말로야로슬라베츠~칼루가 선에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철저한 규율을 통해 부대를 재정비했다.[113][117][118] 그는 허가 없이 후퇴하는 자를 즉결 처형하고, 고급 장교에게도 엄격하게 대처했다.[118]
주코프는 소모된 부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주요 지역에 포병과 대전차포 부대를 집중 배치했다.[113] 또한, 전차 공격에 취약한 지역에 장애 지대를 조성하고, 예비대를 배치하여 독일군의 공격에 대비했다.[113] 10월 하순, 독일군은 츠르기노보에서 알렉신에 이르는 전선에서 저지되었고, 주코프는 방어선을 정비하며 재공세에 대비했다.[113]
11월 15일, 독일군은 공세를 재개했지만, 주코프는 24만 명의 병력, 1254문의 포, 502대의 전차, 600대의 항공기를 준비하고 있었다.[119][120] 치열한 전투 끝에 클린이 함락되었지만, 소련군은 예비대를 투입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했다.[120][113][121] 주코프는 기동 예비대를 활용하고, 독일군의 진격 예상 경로에 지원 병력을 집중 배치하여 독일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121]
11월 말, 주코프는 베로프 소장의 제2기병군단에 증원군을 보내 툴라 지역에서의 반격을 명령하여 성공했다.[122] 12월 5일, 중앙집단군의 공세는 모두 저지되었다. 주코프는 독일군이 기갑부대를 과대평가하고 전선 정면에 병력을 집중하지 않은 점을 패인으로 지적했다.[113]
주코프는 스탈린에게 예비군 지원을 요청하여 1941년 12월 6일, 칼리닌 전선과 남서부 전선 우익 부대와 함께 반격을 개시했다.[113] 북쪽에서는 클린, 크리코보, 솔네치노고르스크를 탈환했고, 남쪽에서는 우즈로바야, 보고로디츠크를 공격, 구데리안 부대에 타격을 입히며 10일 만에 130km를 진격했다.[113] 주코프는 각 부대에 정면 공격을 피하고 우회 기동을 하도록 명령했다.[113]
엘레츠에서는 독일군 보병 2개 사단을 전멸시켰고, 1월 초까지 독일군을 모스크바에서 150km~285km 이상 밀어냈다.[113] 독일군은 50만 명의 병력과 1300량의 전차, 2500문의 포, 1만 5000대 이상의 차량을 잃었다.[113] 주코프는 모스크바 전투를 통해 독일군에게 큰 전략적 패배를 안겨주었다고 평가하며, 자신의 회고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전투로 꼽았다.[113]
한편, 콘스탄틴 로코솝스키는 주코프의 지휘 방식이 가혹하고 독단적이었다고 비판하며, 부하를 소중히 여기고 존중하는 태도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123][124][125]
주코프의 고향 마을은 해방되었지만, 그의 집은 불타 없어졌다.[126] 12월 13일, 소련 각 신문은 주코프의 사진과 함께 모스크바에서의 반격을 보도했고, 서구 언론도 주코프를 주목했다.[126] 주코프는 미하일 쿠투조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와 같은 명장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전설적인 인물이 되었다.[126]
4. 3. 스탈린그라드 전투
1942년 8월, 주코프는 소련군 최고 사령관 대리에 임명된 후, 독일군의 맹공을 받던 스탈린그라드 구출을 위해 파견되었다.[131][132] 그는 알렉산드르 바실레프스키 대장과 함께 100만 명의 병력과 980대의 전차를 동원하여 양측면의 루마니아군을 격파하고 스탈린그라드 제6군을 역포위하는 「天王星」(우라누스) 작전을 기획했다.[134]주코프는 총참모장 바실레프스키와 함께 공격적 방어로 독일군을 쇠약하게 만든 후 스타링라드 주변에서 대규모 공세를 실시하는 반격 계획을 스탈린에게 제출했고, 스탈린은 9월 말에 이 계획을 승인했다.[134] 그러나 스탈린 집무실 면담 기록에는 이 시기에 스탈린과 주코프가 면담한 기록은 없다.[134] 1957년 주코프 실각 당시, 흐루쇼프는 엘리오멘코와 함께 우라누스 작전을 자신들이 기획했다고 주장하며 주코프가 부당하게 공을 가로챘다고 비난했다.[134] 하지만 주코프가 우라누스 작전의 기획 및 실행에 큰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자료는 많으며,[135] 반대로 흐루쇼프와 엘리오멘코가 작전 기획에 관여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자료는 없다.[135]
우라누스 작전은 1942년 11월 19일 돈 전선, 스탈린그라드, 남서부 3개 전선이 협동하여 시작되었다. 3,500문의 포병 지원 하에 바투친이 지휘하는 남서부 전선과 엘리오멘코가 지휘하는 스탈린그라드 전선이 공세를 개시했고, 로코소프스키가 지휘하는 돈 전선이 양 전선을 지원했다.[136] 바투친과 엘리오멘코는 칼라치를 목표로 스탈린그라드의 제4기갑군과 제6군, 그리고 돈 구릉에 배치된 적 부대를 포위하는 이중 포위 작전이었다.[136] 이 작전은 극비리에 진행되었고, 철저한 마스키로프카(기만 작전)를 통해 독일군을 완벽하게 속였다.
1943년 2월 2일, 포위된 독일 제6군, 제4기갑군, 루마니아군 약 20만 명 중 9만 명의 생존자가 항복하면서 독일 동부 전선의 전환점을 만들었다.[137] 이 공로로 주코프는 1943년 1월 18일 소련 원수로 승진했고,[141] 1등 수보로프 훈장을 수여받았다.[141]
4. 4. 쿠르스크 전투
1943년 7월 쿠르스크 전투에서 주코프는 최고 사령관 대리로서 작전을 조정하고 지휘했다.[142] 그는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와 함께 소련 승리의 주요 설계자로 여겨졌다.[22] 주코프는 전투 계획 수립, 주력 부대인 중앙 전선과 보로네시 전선의 전투 준비 총괄, 그리고 전투 시 최고 사령관 대리로서 브랸스크, 중앙, 스텝 전선의 관계를 조정하여 작전의 성공을 이끌었다.[142]에리히 폰 만슈타인의 남부 집단군이 하르키우에서 반격으로 전환하자, 주코프는 스탈린에게 소환되었다. 주코프는 전략 예비대 투입으로 만슈타인의 반격을 저지하고, 쿠르스크에 대규모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1943년 여름 전투에 대비하여 주코프는 참모총장 바실렙스키와 함께 방어전으로 전환하여 독일군의 병력을 흡수하고 소모시키는 새로운 전략안을 제출했다.[141]
4월 8일, 주코프는 쿠르스크 돌출부에 대한 독일군의 공세 계획을 예상하고 스탈린에게 방어전의 효용성을 설명했다. 그는 “우리 군이 먼저 공세를 취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습니다. 적은 여전히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 군은 방비를 굳건히 하여 적에게 먼저 공격하게 하고, 무리한 공세로 적의 전차를 소모시킨 후, 적이 지쳐 한계에 도달했을 때, 비축해둔 예비 병력을 투입하여 역습으로 전환하여 적 주력을 일거에 섬멸하는 것이 현명할 것입니다.”라고 건의했다.
4월 12일 전략 회의에서 스탈린은 주코프의 작전 계획에 반대하고 즉각적인 공세를 요구했지만, 주코프는 바실렙스키와 함께 방어가 새로운 공세를 위한 준비라고 설명하여 스탈린을 설득했다.[143]
주코프는 북카프카스에 파견되어 타만 반도에 고립된 독일 제17군을 제거하는 작전을 총괄하기도 했다.[144] 5월에 모스크바로 돌아온 주코프는 스탈린으로부터 전선에 투입하는 명령권을 자신을 제외하고 최고 사령관 대리인 주코프와 바실렙스키에게만 제한하는 결정을 받았다.[144] 이는 기계화 부대, 포병, 공군, 기병, 공병 등 각종 병과에 통보되었고, 각 병과 사령부의 전선에 대한 간섭은 금지되었으며, 최고 군 사령부에 의한 일원적인 전략 지휘가 확립되었다.[145]
이후 주코프는 중앙 전선, 보로네시 전선의 방어, 공격 태세를 갖추는 준비에 착수했다.[145] 오룔과 쿠르스크에 대량의 자재가 반입되었고, 3층으로 구성된 강력한 방어 진지가 구축되었다. 총연장 5000킬로미터 이상, 깊이 160킬로미터라는 거대한 종심을 갖추고, 2만 문의 화포, 3300량의 전차, 카튜샤 로켓 300기, 64만 개의 지뢰가 배치되었고, 2개 전선 130만 명의 병력이 대기하고 있었다. 후방에는 전략 예비대인 스텝 전선 50만 명이 배치되어 쿠르스크에서의 제병협동 전투 준비는 충분히 갖춰졌다.
우라누스 작전과 마찬가지로 철저한 위장술(마스키로프카)가 실시되어, 전투력과 반격 부대의 존재를 철저히 은폐했다. 부대의 이동은 야간으로 제한되었고, 각 시설은 위장이 시행되었으며, 가짜 시설이 다수 건설되었다. 독일군은 전투가 시작될 때까지 종심 방어의 깊이와 전투력의 실태를 파악할 수 없었다.
1943년 7월 15일, 독일군이 칫타델레(성채) 작전을 개시하고 전투가 시작되었을 때, 주코프는 중앙 전선 사령부에 있었다. 독일군은 대부분의 전선에서 적군의 방어를 돌파하지 못했다. 발터 모델의 제9군은 하루 2~3킬로미터밖에 전진하지 못했고, 선전하고 있던 만슈타인의 제4기갑군도 프로호로프카 대전차전에서 힘이 다했다. 프로호로프카의 격전이 끝난 직후, 주코프는 파벨 로트미스트로프의 지휘소를 방문했다.[147]
4. 5. 베를린 공방전
1944년 11월 18일 주코프는 제1벨로루시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61] 스탈린은 자신의 대리로서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를 구원하고, 스탈린그라드와 쿠르스크에서 승리하며,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를 해방한 주코프가 베를린 공략의 영예를 맡아야 한다고 생각했다.[161]1945년 1월 12일, 비스와-오데르 작전이 시작되었고, 주코프는 바르샤바를 점령하고, 우치를 경유하여 포즈난을 점령하고, 2월 상순에는 오데르 강을 건너 퀴스트린에 도착했다. 매우 짧은 기간에 독일군 전선은 수백 킬로미터나 밀려났고, 폴란드 각지의 군사 공장과 항공 기지는 피난할 틈도 없이 적군의 손에 떨어졌다.[162]
주코프는 부대에 2월 15일이나 16일에 베를린 총공격을 개시하겠다고 선언하고, 2월 10일에는 최고사령부에 베를린 공략 계획을 제출했다.[164] 그러나 최고사령부는 반대했다.[164] 주코프의 급속한 진격으로 로코소프스키의 제2백러시아 전선과의 사이에 140km의 틈이 생겨, 폼머른에 집결한 독일군이 우익에 대한 위협이 되고 있었다.[165] 최고사령부는 우익을 북쪽으로 향하게 하여 폼머른의 독일군을 격파하라고 주코프에게 명령했다.[165] 주코프는 제1·제2근위전차군을 폼머른에 파견하여 베를린으로의 진격을 일시 중지했다.[165]
제8근위군 사령관으로 주코프의 지휘하에 있던 바실리 추이코프는 1960년대에 베를린으로 직진했다면 전쟁은 2월 중에 끝났을 것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65] 주코프는 폼머른의 위협을 과대평가한 스탈린의 말을 따랐다고 신랄하게 비판받았다.[166] 그에 대해 주코프는 폼머른의 위협은 현실적인 것이었다고 주장하며, 전차군을 베를린에 돌입시키면 후퇴로가 차단될 위험이 있었다고 반론했다.[167]
스탈린은 4월 2일에 주코프, 코네프, 안토노프 등 군 간부들을 모아 회의를 열고, 다음 날 주코프와 코네프에게 즉시 베를린을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작전 개시일은 4월 16일로 결정되었다.[169] 수도 베를린은 30마일의 심도 있는 방어선으로 덮여 있었고, 3개의 방어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170] 방어선은 참호, 지하 기지, 대전차 진지, 토치카, 기관총망으로 가득 차 있었고, 100만의 병력과 1500량의 전차, 자주포, 1만 문의 포가 집결해 있었다.[170]
주코프는 이 전쟁사상 가장 견고한 도시를 공략하기 위해 77개 저격 사단, 3155량의 전차, 자주포, 1만 4628문의 포, 1531기의 로켓포를 준비했다.[171] 주코프에게 가장 큰 난관은 높이 100~300피트의 급경사를 가진 제를로의 낭떠러지 지대였다.[171] 제를로 고지는 독일군이 엄중하게 경비하고 있었고, 고지 주위는 습지대에 덮여 기계화 부대의 행동은 저해되었다. 주코프는 포격 후 보병 부대가 능선을 확보하고 기계화 부대가 돌파하여 베를린을 포위하는 작전을 세웠다.[171] 돌격 전에 철저한 지원 포격이 실시되어 하루에 123만 6000발의 포탄이 독일군 진지에 쏟아졌고, 그 진동은 60km 떨어진 베를린에도 전해졌다.[172]
그러나 고트하르트 하인리치는 방어 병력을 후방 진지선으로 내려 적군의 포격을 피하고 있었다.[172] 또한 독일군의 눈을 현혹시키기 위해 143개의 서치라이트를 사용했지만, 안개 때문에 빛이 확산되어 효과가 별로 없었다. 제8근위군을 지휘했던 추이코프는 주코프의 서치라이트 전술을 비판하고 있다.[173]
결국 4월 16일의 공세는 실패로 끝났다. 그날 주코프는 전황을 스탈린에게 보고했다. 스탈린은 코네프군의 진격은 순조롭다고 말했고, 주코프는 내일까지 돌파하겠다고 약속했다. 주코프와의 통화를 마친 후 스탈린은 코네프에게 베를린으로의 진격을 명령했다.
4월 17일 전투에서도 주코프는 제를로를 돌파하지 못했고, 라이벌인 코네프의 진격 소식을 듣고 머리를 싸매고 있었다. 18일에 스탈린은 이 이상 어려움을 겪으면 코네프에게 베를린 공략을 맡기겠다고 전화했고, 18일 오전 주코프는 제를로를 돌파하고 제1근위전차군이 국도 1호선에 도달했다. 결국 제를로 고지의 돌파에 주코프는 사흘을 소비했다. 주코프와 코네프 모두 예하 근위 전차군에게 베를린으로의 돌입을 명령했고, 주코프는 돌입이 성공하면 스탈린뿐만 아니라 언론에도 알리라고 이례적인 명령을 내렸다.[174]
주코프 휘하에서 포병을 총괄하는 카자코프 대장은 포병 중대군에게 베를린으로의 포격을 명령했다. 한편 순조롭게 진격하고 있던 코네프는 후퇴 중이던 독일 제9군을 만나 예상치 못한 저항을 받고 있었다. 코네프도 제3근위전차군을 베를린으로 돌입시켰고, 양군은 거의 동시에 테르토우 운하를 건넜다. 양군은 거의 동시에 베를린에 돌입했지만, 주코프의 부대가 제국 의사당에 돌입했을 때, 두 사람의 베를린 점령 경쟁은 사실상 결착이 났다.[174] 4월 30일, 제국 의사당을 제압한 제3타격군 소속의 두 명의 병사가 의사당 위에 소련 국기를 게양했다.
5월 1일, 스탈린은 베를린 점령을 세계에 발표했고, 다음 날 모든 베를린 방위군이 항복했다. 적군은 베를린 공략에 8만 명의 전사자를 냈고, 사상자를 포함하면 손실은 30만 명에 달했다.[175] 독일군의 전사·전상자는 50만 명, 포로는 50만 명으로 총 손실은 100만 명에 달했다.[175]
주코프는 베를린 최후의 방어선인 란트베어를 넘은 곳에서 독일군 특사인 한스 크렙스를 맞이했다. 주코프는 즉시 독일군 항복과 히틀러 사망 정보를 스탈린에게 보냈고, 5월 9일, 국방군 최고사령부 총장 빌헬름 카이텔 원수로부터 항복 문서를 받았다.[176]
브란덴부르크 문을 걷는 원수들 오른쪽부터 로코소프스키, 몽고메리, 주코프. 로코소프스키와 몽고메리 사이에 있는 사람은 소콜로프스키. (1945년 7월 12일) | 1945년 5월 8일 CET 22:43(MSK 5월 9일 00:43) 베를린의 칼스호르스트/Karlshorst영어에서 독일의 항복 문서/German Instrument of Surrender영어에 서명. 주코프의 왼쪽에는 안드레이 비신스키 외무차관. | 1945년 6월 5일 항복 문서에 서명한 후 베를린의 원수들. (오른쪽부터) 프랑스군 원수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Jean de Lattre de Tassigny프랑스어, 소련군 원수 주코프, 미국군 원수 아이젠하워, 영국군 원수 몽고메리. | 1945년 7월 12일 베를린. 주코프와 몽고메리 |
5. 전후 활동
1947년 주코프는 모스크바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지휘 병력도 적었던 오데사 군관구 및 우랄 군관구 사령관을 전전하였다.[4][30] 피터 G. 츠우라스는 오데사에서 우랄로의 이동을 "2류"에서 "5류" 임무로의 강등으로 묘사했다.[31]
주코프는 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 최고 사령관이자 군정장관이었으나, 주요 군사 회의에서 이기심, 동료에 대한 무례, 정치적 불신뢰성, 당 중앙위원회에 대한 적대감으로 비난받은 후, 소련 육군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다.[4][30] 그는 독일군이 압수한 물품의 무단 약탈과 보나파르티즘으로 비난받았다.[30][33] 1946년, 주코프가 독일에서 소련으로 가져가던 가구가 실린 7량의 열차가 압수되었고, 1948년 그의 모스크바 아파트와 집이 수색되어 독일에서 약탈한 많은 귀중품이 발견되었다.[34] 주코프는 즈다노프에게 보낸 각서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앞으로는 그러한 실수를 피할 것을 맹세했다.[36]
라브렌티 베리아는 주코프의 부하들을 체포 및 고문하여 주코프를 음모에 연루시키는 "자백"을 강요하려 했다.[32] 그러나 필립 폴리코프를 제외한 모든 장군들은 주코프의 횡령 혐의에 대해 변호했다.[4]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주코프는 다시 정계에 복귀하여 국방장관 대리가 되었고,[40] 1955년 국방장관에 취임했다.[42] 1953년 라브렌티 베리야를 체포하여 처형하는 등 스탈린 사후의 소련 공산당의 지도 체제를 지탱하였다.[40] 그는 당과 정치 지도자들이 전문 군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최고 권력은 군 사령관에게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정치장교 제도의 재건에 성공적으로 반대했다. 1955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서로 편지를 주고받았으며, 두 초강대국이 평화적으로 공존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43] 1955년 7월, 주코프는 제네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참석했다.
주코프는 1956년 헝가리 혁명 이후 헝가리 침공 당시 흐루쇼프의 명령을 따랐다.[44] 그는 프레지디움 대다수 구성원과 함께 흐루쇼프에게 헝가리 당국을 지원하고 오스트리아 국경을 확보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주코프는 소련군 철수를 권고하기도 했다. 헝가리의 새 총리 임레 너지가 와르샤와 조약에서 헝가리 철수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하자 프레지디움의 분위기는 다시 바뀌었고, 소련이 혁명가들을 공격하고 너지를 야노시 카다르로 대체하게 만들었다. 같은 해 수에즈 위기 동안 이집트의 자위권을 지지했다. 1957년 10월, 주코프는 티토-스탈린 분열을 수습하려고 했다. 항해 중 미국 제6함대 부대와 조우했고, 함선 간에 전탄 발사 형식의 "통과 경례"가 교환되었다.
5. 1. 좌천과 복권
1947년 주코프는 모스크바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지휘 병력도 적었던 오데사 군관구 및 우랄 군관구 사령관을 전전하였다.[4][30] 피터 G. 츠우라스는 오데사에서 우랄로의 이동을 "2류"에서 "5류" 임무로의 강등으로 묘사했다.[31]주코프는 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 최고 사령관이자 군정장관이었으나, 주요 군사 회의에서 이기심, 동료에 대한 무례, 정치적 불신뢰성, 당 중앙위원회에 대한 적대감으로 비난받은 후, 소련 육군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다.[4][30] 그는 독일군이 압수한 물품의 무단 약탈과 보나파르티즘으로 비난받았다.[30][33] 1946년, 주코프가 독일에서 소련으로 가져가던 가구가 실린 7량의 열차가 압수되었고, 1948년 그의 모스크바 아파트와 집이 수색되어 독일에서 약탈한 많은 귀중품이 발견되었다.[34] 주코프는 즈다노프에게 보낸 각서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앞으로는 그러한 실수를 피할 것을 맹세했다.[36]
라브렌티 베리아는 주코프의 부하들을 체포 및 고문하여 주코프를 음모에 연루시키는 "자백"을 강요하려 했다.[32] 그러나 필립 폴리코프를 제외한 모든 장군들은 주코프의 횡령 혐의에 대해 변호했다.[4]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주코프는 다시 정계에 복귀하여 국방장관 대리가 되었고,[40] 1955년 국방장관에 취임했다.[42] 1953년 라브렌티 베리야를 체포하여 처형하는 등 스탈린 사후의 소련 공산당의 지도 체제를 지탱하였다.[40] 그는 당과 정치 지도자들이 전문 군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최고 권력은 군 사령관에게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정치장교 제도의 재건에 성공적으로 반대했다. 1955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서로 편지를 주고받았으며, 두 초강대국이 평화적으로 공존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43] 1955년 7월, 주코프는 제네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참석했다.
주코프는 1956년 헝가리 혁명 이후 헝가리 침공 당시 흐루쇼프의 명령을 따랐다.[44] 그는 프레지디움 대다수 구성원과 함께 흐루쇼프에게 헝가리 당국을 지원하고 오스트리아 국경을 확보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주코프는 소련군 철수를 권고하기도 했다. 헝가리의 새 총리 임레 너지가 와르샤와 조약에서 헝가리 철수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하자 프레지디움의 분위기는 다시 바뀌었고, 소련이 혁명가들을 공격하고 너지를 야노시 카다르로 대체하게 만들었다. 같은 해 수에즈 위기 동안 이집트의 자위권을 지지했다. 1957년 10월, 주코프는 티토-스탈린 분열을 수습하려고 했다. 항해 중 미국 제6함대 부대와 조우했고, 함선 간에 전탄 발사 형식의 "통과 경례"가 교환되었다.
5. 2. 흐루쇼프와의 갈등과 해임
1955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의 실권을 장악하면서, 주코프는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188] 처음에는 흐루쇼프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군축 문제 등에서 협력했다.[190][191] 그러나 1957년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이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를 중심으로 하는 반당파와의 권력 투쟁에서 흐루쇼프를 지지했다.[204][205]주코프는 흐루쇼프 체제 수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지만, 흐루쇼프는 군부에 대한 당의 우위를 내세워 주코프와 갈등을 빚었다.[206] 흐루쇼프는 주코프가 쿠데타를 기도했다고 주장하며, 1957년 10월 그를 국방장관 직에서 해임하고, 중앙위원회에서도 추방했다.[209]
흐루쇼프는 주코프가 군을 당으로부터 분리시키려 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공적을 독차지하려 한다고 비난했다.[207] 주코프의 전우였던 바실리 소콜로프스키, 이반 코네프,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등도 주코프를 비판했다.[207][212]
CIA는 주코프의 해임 원인을 그의 정치적 배려 부족과 직무에 대한 충실함으로 분석했다.[211] 주코프 해임 이후, 소련 내에서는 주코프에 대한 비판 캠페인이 확대되었고, 그의 이름은 역사에서 삭제되었다.[213] 주코프는 은퇴 후 회고록 집필에 몰두하며, KGB의 감시를 받았다.[214]
5. 3. 명예 회복과 사망
1964년 10월 니키타 흐루쇼프가 실각하고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와 알렉세이 코시긴이 뒤를 이으면서 주코프의 명예는 회복되었다.[216] 1965년 3월 당 지도부에 서한을 보내 명예 회복을 요청했고,[216] 한 달 후 이반 코네프는 주코프에게 결점은 있지만 위대한 사령관이라고 언급하며, 대조국전쟁 승리 20주년 기념식에 참석할 것을 요청했다. 새로운 지도자가 된 브레즈네프는 5월 8일 기념식에서 연설을 했고, 주코프도 초대되었다. 주코프가 행사장에 모습을 드러내자 참석자들은 일어서서 박수를 보냈고, 브레즈네프가 주코프를 언급하자 더 큰 박수가 터져 나왔다.[216] 다음 날 열린 군사 퍼레이드에도 참가하여 레닌묘에 다른 원수들과 함께 섰고, 크렘린에서 열린 축하연에도 참석했다. 비록 정계에 복귀하지는 않았으나, 소련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던 인물 중 한 명이었다.정부에서 쫓겨난 후, 주코프는 정치와 거리를 두었다. 많은 사람들, 전 부하들까지도 그를 자주 방문하여 사냥에 동행하고 추억을 나누었다. 1959년 9월 미국을 방문 중이던 흐루쇼프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은퇴한 원수 주코프가 "낚시를 좋아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코프는 사실 열렬한 열대어 사육가였다.[45] 이에 아이젠하워는 주코프에게 낚시 도구 세트를 선물했다. 주코프는 이 선물을 매우 소중히 여겨 소련 낚시 도구를 "불량품"이라고 부르며 생애 남은 기간 아이젠하워의 낚시 도구만을 사용했다고 한다.[46]
1966년 11월에는 모스크바 방어전 25주년을 기념하는 대회에 참가하여 코네프와 바실리 추이코프 등과 함께 단상에 모습을 드러내자 참석자들의 큰 박수갈채와 함께 “주코프 원수에게 영광을!”이라는 함성이 일제히 터져 나왔다.[217] 대회를 주관하는 당 의원단장은 주코프의 인기 넘침을 못마땅하게 바라보았다. 주코프는 11월 70세 생일을 맞아 다섯 번째 레닌 훈장을 받았다. 주코프는 역사적으로도 복권을 이루었다. 소련에서 높은 권위를 가진 군사사 저널이 베를린 공략 지연을 둘러싼 논쟁에서 주코프의 견해를 게재했다. 그 후에도 집필 활동, 인터뷰, 행사 및 강연 등의 요청이 끊임없이 이어졌다.[217]
은퇴 후에는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져 숲에 버섯을 따러 가거나 사냥을 하기도 하고, 집에서 독서나 영화 감상을 즐겼다. 주코프는 젊은 시절부터 독서가였으며, 군사 관련 책뿐만 아니라 역사와 러시아 고전도 즐겨 읽었다. 대조국 전쟁을 그린 서적과 영화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놀라운 기억력과 집중력을 발휘했다고 한다.[218]
주코프는 1958년부터 자신의 회고록인 "회상과 추억"을 쓰기 시작했다.[216] 1965년 7월, 주코프는 평소 친분이 있던 APN 출판부의 편집자 안나 밀키나로부터 회고록 출판 제안을 받았다. 주코프는 밀키나를 별장으로 초대하여 회고록 집필을 승낙했고, 1965년 8월부터 회고록 집필에 전력을 다했다. 주코프는 1966년 가을 1430페이지의 원고를 출판사에 넘겼다. 주코프는 손글씨에 고집하여 타자기를 사용하지 않았다.[219] 회고록 집필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국방성 문헌관을 드나들며 약 1500개의 자료를 인용했다.[219] 1차 자료 인용이 풍부했기 때문에, 소련이 붕괴되어 문헌관이 개방될 때까지 주코프 회고록은 역사가들에게 일급 자료가 되었다.[219]
회고록 집필에 전면적으로 협력해 준 사람은 절친한 친구인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Антипенко/니콜라이 안티펜코ru 중장이었다.[219] 안티펜코 중장은 바그라티온 작전에서 주코프가 지휘한 제1벨로루시 전선의 보급을 담당했고, 주코프가 실각했을 때에도 친분을 유지한 유일한 장군이었다.[220] 많은 군인들이 주코프를 피하는 가운데, 안티펜코는 "우리는 절친한 친구가 아닌가"라며 실의에 빠진 주코프를 격려했다.[220] 흐루쇼프 실각 후, 가장 먼저 주코프의 명예 회복을 브레즈네프 지도부에 호소한 것도 안티펜코였다.[220]
주코프가 직면한 것은 검열이라는 벽이었다. 검열 작업은 1년 가까이 계속되었고 주코프는 브레즈네프에게 독촉 편지를 보냈으며, 1968년 4월에야 마침내 안드레이 그레치코 원수 국방장관이 당에 보고서를 제출했다. 보고서는 대체로 회고록에 대해 호의적이었지만, 주코프가 자신의 공적을 과대평가하고 당의 공적을 기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적군 대숙청의 영향을 너무 중요시했다는 점도 문제시되었다. 당은 회고록 출판을 허가했지만, 상당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고, 주코프는 당에서 파견한 역사가 G. A. 데보린과 APN에 위탁된 저널리스트 V. G. 코몰로프와 함께 수정 작업에 착수했다.
1969년 4월, 마침내 주코프 회고록이 출판되었고, 20만 부가 즉시 매진되었으며, 추가로 인쇄된 100만 부도 완판되었다. 러시아뿐 아니라 세계 30개국, 19개 언어로 번역되었고, 일본에서는 아사히 신문사에서 「주코프 원수 회상록」으로 1970년에 출판되었다(현재는 절판).
주코프 회고록에 대한 소련 국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수많은 편지가 쇄도하며 축복의 말과 수정, 추가 요청이 주코프에게 전달되었고, 주코프는 제2판 집필에 착수했다.[221] 국민들과는 달리 당 지도부의 반응은 냉담했으며, 중앙위원회는 주코프 회고록에 대한 일체의 논평과 해설을 금지했다.
1974년 6월 18일, 77세의 나이로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SFSR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48] 그의 시신은 화장되었고, 그의 유해는 장례식에서 소련의 동료 장군들과 원수들 옆에 있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49] 장례식은 국장으로 붉은 광장에서 거행되었다. 최고 지도자 레오니드 일리이치 브레즈네프를 비롯한 정치인, 군인 외에도 수천 명의 민간인이 참석했으며,[223] 그 규모는 스탈린의 국장에 필적했다. 유해는 소련군 중앙회관에 안치된 후, 7월 21일 브레즈네프의 주도로 유골이 크렘린 벽에 안장되었다.[223] 회고록 제2판은 사후 수주일 후에 출판되었으며, 제1판과 합쳐 800만 부가 발행되었다.
1995년, 주코프의 기마상이 국립역사박물관 앞에 세워졌다.[50]
6. 평가와 유산
게오르기 주코프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을 승리로 이끈 가장 중요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58] 소련군 원수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Aleksandr Vasilevsky)는 주코프가 소련군의 가장 뛰어나고 훌륭한 군 지도자 중 한 명이라고 말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소련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많은 훈장과 표창을 받았다.[224]
주코프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4회), 몽골 인민 공화국 영웅 등 수많은 훈장을 받았다. 특히 승리 훈장을 두 번 받은 세 명 중 한 명이며, 레닌 훈장 6개, 적기 훈장 3개, 1등급 수보로프 훈장 2개 등 수많은 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최고 사령관으로부터 41회의 감사장을 받았다.
1995년 주코프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정부는 주코프 훈장을 신설하였다.[52] 1996년 러시아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주코프 훈장(Order of Zhukov)과 주코프 메달(Zhukov Medal)을 제정했다. 1995년, 주코프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정부는 주코프 훈장을 신설했다. 그의 이름을 딴 거리, 기념비, 훈장 등이 러시아와 다른 여러 나라에 존재한다.
소련 해체 이후, 주코프의 기념비는 과거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소련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유지된 몇 안 되는 기념비 중 하나였다. 모스크바 크렘린 입구인 마네주나야 광장(Manezhnaya Square)에 1945년 승전 기념식 당시의 모습을 한 말을 탄 주코프 동상이 있다. 모스크바에는 또 다른 주코프 동상이 마샬 주코프가(Prospekt Marshala Zhukova)에 위치해 있다. 스베르들롭스크주 이르빗(Irbit)에도 주코프 동상이 있으며, 옴스크, 이르쿠츠크, 예카테린부르크에도 다른 주코프 동상들이 있다.
방공군(소련에서는 육해공군 이외에 방공군과 전략로켓군이 별도의 편제로 존재했다.)의 지휘관 아카데미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에는 그의 이름이 붙은 거리가 존재한다. 모스크바, 예카테린부르크, 옴스크, 트베리, 이르비테, 하르키우, 쿠르스크 등에는 기념비가 세워졌고, 고향인 스트렐코프카 마을은 주코프 마을로 개명되었으며 화강암 기념비가 세워졌다.[224]
1975년 소련 천문학자 류드밀라 체르니흐(Lyudmila Chernykh)가 발견한 소행성 2132 주코프(2132 Zhukov)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2]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한 정보 공개가 시작되면서, 주코프의 복권에 제동을 걸었다는 이유로 브레즈네프 정권이 군 일부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후에도 주코프는 러시아의 영웅이었다. 몰락한 공산당의 권위를 대신하여 신생 러시아는 주코프를 새로운 상징으로 삼았다.[224] 보리스 옐친 정권 하에서 주코프의 초상을 새긴 루블 기념화폐가 발행되었고, 1994년에는 두 개의 대통령령이 발표되었다. 하나는 대조국전쟁 승리 50주년까지 주코프의 기념비를 건설하라는 지시였고, 다른 하나는 흐루쇼프 정권이 주코프에게 가한 모든 혐의를 부정하는 것이었다.[224]
주코프의 경력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역사가 콘스탄틴 자레스키(Konstantin Zaleski)는 주코프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자신의 역할을 과장했다고 주장했다.[57]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는 주코프가 나치와 싸운 업적 때문에 연합국이 그에게 세계의 다른 어떤 군 지도자보다 훨씬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다고 말했다.[58]
;국내
![]() | 소련 영웅 4회 |
![]() | 레닌 훈장 6회 |
승리 훈장 2회 | |
![]() | 적기 훈장 3회 |
1등급 수보로프 훈장 2회 | |
![]() | 10월 혁명 훈장 |
적기 훈장 | |
![]() | 모스크바 방위 훈장(Medal "For the Defence of Moscow") |
![]() | 레닌그라드 방위 훈장 |
스탈린그라드 방위 훈장 | |
![]() | 카프카스 방위 훈장(Medal "For the Defence of the Caucasus") |
![]() | 베를린 함락 훈장(Medal "For the Capture of Berlin") |
![]() | 대일전 승리 훈장(Medal "For the Victory over Japan") |
![]() | 바르샤바 해방 훈장(Medal "For the Liberation of Warsaw") |
1941년-1945년 대독일전 승리 훈장(Medal "For the Victory over Germany in the Great Patriotic War 1941–1945") | |
![]()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훈장(Jubilee Medal "Twenty Years of Victory in the Great Patriotic War 1941-1945") |
![]()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Jubilee Medal "Thirty Years of Victory in the Great Patriotic War 1941-1945") |
![]() | 노농적군 20주년 기념 훈장(Jubilee Medal "XX Years of the Workers and Peasants Red Army") |
![]() | 소련 육해군 30주년 기념 훈장(Jubilee Medal "30 Years of the Soviet Army and Navy") |
![]() | 소련군 50주년 기념 훈장(Jubilee Medal "50 Years of the Armed Forces of the USSR") |
![]() |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훈장(Medal "In Commemoration of the 800th Anniversary of Moscow") |
![]() | 레닌그라드 250주년 기념 훈장(Medal "In Commemoration of the 250th Anniversary of Leningrad") |
내무부 명예 근로자(Заслуженный работник МВД) |
;외국
적기 훈장(Order of the Red Banner) 2회 (몽골 인민 공화국) | |
공화국 훈장(Орден Республики) (투바 인민 공화국) | |
대영제국 훈장 (영국) | |
1등급 레지옹 도뇌르 훈장 (프랑스) | |
전쟁 십자훈장(Croix de Guerre) (프랑스) | |
레지옹 오브 메리트 최고 사령관 (미국) | |
별 장식 대십자 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Virtuti Militari)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1급 그룬발트 십자 훈장(Cross of Grunwald)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1급 백색 사자 훈장(Order of the White Lion)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
![]() | 1급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훈장(Czechoslovak War Cross 1939–1945)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대일전 승리 훈장(Медаль «За Победу над Японией») (몽골 인민 공화국) | |
1939년-1945년 바르샤바 훈장(Медаль «За Варшаву 1939—1945»)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오드라-나이사-발틱 훈장(Медаль «За Одру, Нису и Балтику»)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중소 우정 만세 훈장(中苏友谊万岁奖章) 2회 (중화인민공화국) | |
자유 훈장(Order of Freedom)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
![]() | 가리발디 훈장(Медаль «Гарибальди») 및 명예 파르티잔 (이탈리아) |
대십자 공훈 훈장(Order of Merit) (이집트) | |
3등급 및 2등급 폴란드 부흥 훈장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 | 수흐바타르 훈장(Order of Sukhbaatar) 3회 (몽골 인민 공화국) |
몽골 인민 공화국 영웅 금성장 (몽골 인민 공화국) | |
할힌골 전투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Medal "30 years of the Victory in Khalkhin-Gol") (몽골 인민 공화국) | |
몽골 인민 혁명 50주년 기념 훈장(Medal "50 Years of the Mongolian People's Revolution") (몽골 인민 공화국) | |
몽골 인민군 50주년 기념 훈장(Медаль «50 лет Монгольской Народной Армии») (몽골 인민 공화국) |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탄생 90주년 기념 훈장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
![]() | 불가리아 인민군 25주년 기념 훈장(Медаль «25 лет БНА»)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6. 1. 한국과의 관계
7. 훈장
게오르기 주코프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네 번 받았으며,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와 함께 이 칭호를 4회 수상한 유일한 인물이다. 승리 훈장을 두 번, 레닌 훈장 6개, 10월 혁명 훈장, 적기 훈장 3개, 1등급 수보로프 훈장 2개를 포함하여 수많은 훈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최고 사령관으로부터 41번의 감사장을 받았다. 몽골 인민 공화국 영웅 칭호도 받았다.
1995년 주코프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정부는 주코프 훈장을 신설했다.
주코프가 받은 훈장 및 기념장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소련
훈장 | 명칭 | 수여 횟수 |
---|---|---|
소련 영웅 | 4 | |
레닌 훈장 | 6 | |
승리 훈장 | 2 | |
적기 훈장 | 3 | |
수보로프 훈장 1등급 | 2 | |
10월 혁명 훈장 | ||
모스크바 방위 훈장 | ||
레닌그라드 방위 훈장 | ||
스탈린그라드 방위 훈장 | ||
카프카스 방위 훈장 | ||
베를린 함락 훈장 | ||
대일전 승리 훈장 | ||
바르샤바 해방 훈장 | ||
1941년-1945년 대독일전 승리 훈장 |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훈장 |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 | ||
노농적군 20주년 기념 훈장 | ||
소련 육해군 30주년 기념 훈장 | ||
소련군 50주년 기념 훈장 | ||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훈장 | ||
레닌그라드 250주년 기념 훈장 | ||
소련 국장이 새겨진 금박 명예 무기 |
; 외국
훈장 | 명칭 | 국가 | 수여 횟수 |
---|---|---|---|
몽골 인민 공화국 영웅 금성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
적기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2 | |
수흐바타르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3 | |
할힌골 전투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
몽골 인민 혁명 50주년 기념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
몽골 인민군 50주년 기념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
대일전 승리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
공화국 훈장 | 투바 인민 공화국 | ||
대영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훈장 (군사 부문) | 영국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장군 훈장 | 프랑스 | ||
|60px]] | 전쟁 십자훈장 | 프랑스 | |
레지옹 오브 메리트 최고 사령관 | 미국 | ||
별 장식 대십자 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60px]] | 1급 그룬발트 십자 훈장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폴란드 부흥 훈장 3등급 및 2등급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1939년-1945년 바르샤바 훈장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오드라-나이사-발틱 훈장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1급 백색 사자 훈장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
|60px]] |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훈장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
불가리아 인민군 25주년 기념 훈장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탄생 90주년 기념 훈장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
중소 우정 만세 훈장 | 중화인민공화국 | 2 | |
자유 훈장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
|20px]] | 가리발디 훈장 및 명예 파르티잔 | 이탈리아 | |
대십자 공훈 훈장 | 이집트 |
참조
[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 Great Captain.
Pen and Sword Books
[2]
웹사이트
Сто великих полководцев – История.РФ
http://100.histrf.ru[...]
Russian Military Historical Society
2023-03-25
[3]
웹사이트
Жуков 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https://warheroes.ru[...]
[4]
서적
Stalin's General: The Life of Georgy Zhukov
https://books.google[...]
Icon Books
2012
[5]
잡지
The Night Nikita Khrushchev Gave Me My Nickname
https://time.com/497[...]
2017-10-10
[6]
웹사이트
Transcript: "The Year I Was Peter the Great"; A Brookings Book Club Discussion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24-05-22
[7]
간행물
В огне революции и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http://militera.lib.[...]
Rodiola-plus
2000
[8]
CIA 정보 보고서
Subject: Zhukov, Georgi Konstantinovitch, Marshal
https://www.cia.gov/[...]
2024-11-05
[9]
간행물
Маршал Жуков. Величие и уникальность полководче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http://militera.lib.[...]
1996
[10]
서적
Central State Archive of the Red Army
TsGAKA
[11]
잡지
Репетиция катастрофы
http://rkka.ru/analy[...]
1993
[12]
웹사이트
Соображения по плану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развёртывания си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а случай войны с Германией и её союзниками
http://www.tuad.nsk.[...]
2012-06-04
[13]
서적
Стратегические замыслы Сталина накануне 22 июня 1941 года
http://tapirr.com/te[...]
Yauza
2006
[14]
서적
Упущенный шанс Сталина. Советский Союз и борьба за Европу, 1939–1941
1999
[15]
서적
What Stalin Knew: The Enigma of Barbarossa
Yale University Press
2005
[16]
웹사이트
Operation Barbarossa
https://codenames.in[...]
2020-05-24
[17]
서적
Destination Gulag
Trafford Publishing
[18]
서적
Reading Marshal Zhukov
Libas Consulting
2002
[19]
서적
Stalin's Folly: The Secret History of the German Invasion of Russia, June 1941
Weidenfeld & Nicolson
2005
[20]
서적
Маршал Жуков. Величие и уникальность полководче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21]
서적
Moscow to Stalingrad: Decision in the East
https://books.google[...]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87
[22]
서적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Yale University Press
2006
[23]
잡지
1992
[24]
서적
Soviet Strategic Thought, 1917–1991
MIT Press
[25]
서적
The Bitter Road to Freedom: A New History of the Liberation of Europe
[26]
서적
50 Great Military Leaders of All Time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2016
[27]
서적
Вторая мировая война. Военно-политический очерк
http://publ.lib.ru/A[...]
Voenizdat
1958
[28]
서적
Eisenhower in Command at Columbia
Lexington Books
[29]
뉴스
Viewpoints; A Brief History of Coca-Colonization
https://www.nytimes.[...]
2012-09-12
[30]
서적
Life and Times of Andrei Zhdanov, 1896–1948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04-03-01
[31]
서적
Changing Orders: The evolution of the World's Armies, 1945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994
[32]
웹사이트
Chief Marshal of Aviation AA. Novikov – His 100th Birthday
http://findarticles.[...]
2019-07-08
[33]
간행물
Записки командующего фронтом
http://www.warheroes[...]
Voenizdat
2013-07-12
[34]
서적
Неизвестный Жуков: портрет без ретуши в зеркале эпохи
Rodiola-plyus
2000
[35]
웹사이트
Жуков 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УКАЗАТЕЛЬ
http://www.hrono.ru/[...]
2013-07-12
[36]
서적
Военные архивы России
М.
1993
[37]
뉴스
""
The New York Times
1955-07-29
[38]
서적
Reminiscences and Reflections
[39]
서적
Marshal Zhukov: The Great Strategician
New Delhi
1988
[40]
서적
Khrushchev on Khrushchev. An Inside Account of the Man and His Era
Little, Brown & Company
1990
[41]
신문
The arrest of Beria
Московские новости
1990
[42]
뉴스
The Albuquerque Journal
1955-02-09
[43]
서적
Strictly Personal
New York
1974
[44]
서적
The First Domino: International Decision Making During the Hungarian Crisis of 1956
https://books.google[...]
Texas A & M University Press
2004
[45]
학술지
Erinnerungen an Ornithologen, die ich kannte
[46]
서적
Ike: An American Hero
2008
[47]
웹사이트
The Man in Galoshes
https://jew-observer[...]
2012-12
[48]
뉴스
Marshal Riukov is Reported Dea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4-06-19
[49]
Youtube
State funeral of Soviet Hero Marshal Zhukov in Moscow_Похороны Жуков
https://www.youtube.[...]
2017-01-15
[50]
뉴스
At Last, a Soviet Hero Gets Respect: Marshal Georgi Zhukov was demoted twice after leading victorious World War II forces. Now he is being honored with a medal, a monument and a museum.
https://www.latimes.[...]
LA Times
1995-05-02
[51]
서적
Zhukov at the Oder: The Decisive Battle for Berlin
London
1996
[5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2003
[53]
웹사이트
The Russian boys and their last poet
https://archive.toda[...]
The National Interest
1996-06-22
[54]
웹사이트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http://militera.lib.[...]
Olma-Press
2002
[55]
서적
Venäjän idea
Tammi
2001
[56]
뉴스
Soviets Print Excerpts of Attack by Zhukov on Stalin's War Ro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1-21
[57]
웹사이트
Империя Сталина.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Москва, Вече, 2000; Жуков 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Хронос, биографии
http://www.hrono.inf[...]
[58]
서적
Crusade in Europe
New York
1948
[59]
서적
Generals at War
London
1972
[60]
서적
Inside Russia Today
New York
1958
[61]
웹사이트
The general who defeated Hitler
http://www.bbc.co.uk[...]
BBC Vietnamese
2005-05-08
[62]
웹사이트
«Мы их освободили, и они нам этого никогда не простят», – пророческая фраза маршала Победы Георгия Жукова
http://gazeta-delovo[...]
2021-06-10
[63]
서적
2013
[64]
서적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третья. Участие в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е
[65]
서적
2013
[66]
서적
2013
[67]
서적
2013
[68]
서적
2013
[69]
서적
2013
[70]
서적
2013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седьмая. Необъявленная война на Халхин-Голе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восьмая. Командование Киевским особым военным округом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간행물
転換した赤軍の防衛戦略 独ソ開戦 極秘の図上演習
[95]
간행물
転換した赤軍の防衛戦略 独ソ開戦 極秘の図上演習
[96]
간행물
転換した赤軍の防衛戦略 独ソ開戦 極秘の図上演習
[97]
서적
[98]
서적
宿命の「バルバロッサ作戦」
[99]
간행물
転換した赤軍の防衛戦略 独ソ開戦 極秘の図上演習
[100]
서적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десятая. Начало войны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Жуков 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двенадцатая. Ликвидация Ельнинского выступа противника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Жуков 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тринадцатая. Борьба за Ленинград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Жуков 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Воспоминания и размышления Глава четырнадцатая. Битва за Москву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クルスクの戦い1943: 独ソ「史上最大の戦車戦」の実相
[138]
서적
クルスクの戦い1943: 独ソ「史上最大の戦車戦」の実相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웹사이트
コカ・コーラ好きなソ連の元帥が、鉄のカーテンの向こうにコーラを運んだ方法
https://www.business[...]
202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